14억 원 규모의 현상금, 커크 암살 용의자 아버지에 대한 논란

미국 유타주에서 발생한 찰리 커크 암살 사건과 관련해, 용의자 타일러 로빈슨의 아버지에게 100만 달러(약 14억 원)에 달하는 현상금을 누구에게 지급할지가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커크는 보수 단체 터닝포인트 USA의 대표로, 지난 10일 총격을 당해 사망했으며, 로빈슨은 16일 가중 살인, 총기 발사 중범죄 등의 혐의로 기소되었다. 현상금은 FBI의 수배가 내려진 지 33시간 만에 로빈슨이 체포되면서 전 보수 진영 인사들의 기부 마당으로 확대되었다.
사건 초기, FBI는 10만 달러의 현상금을 제안했으나, 커크의 사망 소식 이후 보수 진영에서 추가 기부가 이어지면서 총 현상금이 115만 달러로 증가했다. 그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문이었던 알렉스 브루스위츠와 보수 활동가 로비 스타벅이 각각 2만5000달러를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월스트리트 헤지펀드 거물 빌 애크먼이 100만 달러를 기부하겠다고 나서면서 사건의 주목도를 더욱 높였다.
로빈슨의 아버지는 아들의 사진을 보고 즉시 인식하였으며, 27년간 법 집행기관에서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아들에게 자수를 권유한 결정적 역할을 담당했다. 유타 주지사 스펜서 콕스는 로빈슨의 가족이 지인을 통해 자수 의사를 전달했음을 언급하며, 그들의 올바른 선택에 고마움을 표했다. 로빈슨의 가족들은 사건의 배경과 범행 동기에 대한 정보 제공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정치적 변화를 겪어난 사실을 수사 당국에 알렸다.
사건 이후, 로빈슨의 아버지가 현상금을 수령할 경우 어떤 형태로든 디스코트한 기부를 하는 것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도 분분하다. 스탭스타버크는 로빈슨의 아버지가 현상금을 받게 된다면 반드시 터닝포인트 USA에 기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애크먼 역시 현상금 지급자가 커크의 암살에 관여했을 경우 법적 조치를 통해 반환받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현상금 지급 과정은 복잡한 절차를 따르며, 미국의 '정의에 대한 보상' 프로그램에 따라 관리된다. 현상금 수령을 위해서는 각 기관의 담당자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지급 타당성을 검토한 뒤 국무장관에게 최종 권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권고안은 법적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전적인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승인이 되어도 현상금 액수가 변동될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하게 얽힌 현상금 지급 문제와 그의 가족에 대한 논란은 커크 암살 사건의 배후를 둘러싼 논의가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 이 사건은 보수 진영에게는 큰 충격으로 다가왔으며, 앞으로의 진전 상황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