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와의 관계를 끊은 성전환 딸, 뉴욕 패션위크에서 정치적 메시지 담아 데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딸인 비비안 제나 윌슨(21)이 뉴욕 패션위크 무대에 서며 트랜스젠더 권리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녀의 데뷔는 단순한 퍼포먼스를 넘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랜스젠더 권리 제한 조치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으로 해석되고 있다.
비비안 윌슨은 패션위크 기간인 12일부터 15일 사이에 총 네 차례의 패션쇼 런웨이에 섰으며, 그녀의 첫 번째 무대는 '미스 USA 1991'을 테마로 한 액세서리 디자이너 알렉시스 비타르의 쇼였다. 이 쇼에는 모두 트랜스젠더 여성 모델들이 참여했으며, 그들은 공화당 지지가 강한 주의 이름이 적힌 어깨띠를 착용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1996년부터 2015년까지 '미스 USA 선발대회'를 운영한 점을 감안할 때, 의도적으로 그를 겨냥한 풍자 공연으로 해석된다.
이후 비비안은 13일에는 네팔계 미국인 패션 디자이너 프라발 구룽의 쇼에서 '미국에 있는 천사들'이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사랑을 받은 동성애와 에이즈 의제를 다룬 대표적인 연극에서 영감을 얻은 세트를 선보였다. 이어서 그녀는 14일과 15일에 각각 패션 디자이너 올리비아 청과 보석 디자이너 크리스 하바나의 쇼에도 참가하였다. 크리스 하바나는 이번 쇼의 목적에 대해 성의 다양한 표현과 이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도전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는 의도를 밝혔다.
이러한 패션쇼들은 지난해 대선 직전과 달리 올해는 명시적인 정치적 메시지가 부족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윌슨의 캐스팅은 그 자체로 하나의 강력한 성명을 의미하며, 비비안 윌슨을 무대에 선 보이게 한 것은 트랜스젠더 권리를 제한하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분석되고 있다.
이번 패션쇼에 참여한 비비안은 NBC와의 인터뷰에서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쇼에 참여하는 것은 정말 좋다. 그것은 강력한 선언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녀는 일론 머스크와 저스틴 윌슨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로, 2022년 18세에 성전환을 하며 아버지와의 절연을 선언하기도 했다. 이러한 그녀의 선택은 '생물학적 아버지와 어떤 관계도 원하지 않는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다.
비비안의 패션위크 데뷔는 단순히 한 개인의 등장에 그치지 않고, 트랜스젠더 및 성 소수자 권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정치적 상징으로 널리 해석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성소수자의 권리와 관련된 이슈가 더욱 중요한 논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의미 있는 대화의 출발점으로 여겨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