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타임 폐지 시 미국 내 비만 및 뇌졸중 예방 기대효과 연구 결과 발표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서머타임 폐지 시 미국 내 비만 및 뇌졸중 예방 기대효과 연구 결과 발표

코인개미 0 25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서머타임(일광절약시간제)을 폐지할 경우, 미국에서 연간 약 260만 명의 비만과 30만 명의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스탠퍼드대학교 의대의 제이미 자이처 교수팀이 발표한 이 연구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다룬 내용으로, 영구 표준시와 영구 서머타임, 그리고 현행 서머타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

연구_team은 서머타임을 폐지하고 영구 표준시를 도입할 경우, 미국 전역에서 비만 유병률이 약 0.78% 감소하고, 뇌졸중 발생률도 0.09%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시계를 1시간 앞당기는 서머타임을 표준시로 고정하는 영구 서머타임의 경우에도 비만은 0.51%, 뇌졸중도 동일하게 0.09%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작게 여겨질 수 있지만, 연구팀은 영구 표준시 도입의 경우 연간 비만 환자가 약 260만2800명, 뇌졸중 환자가 30만6900명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영구 서머타임을 시행할 경우에도 비만 환자가 170만5400명, 뇌졸중 환자가 약 22만 명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자이처 교수는 "현재 방식대로 시간을 두 번 조정하는 것보다, 서머타임 또는 표준시를 고정하는 것이 신체 리듬 관점에서 훨씬 더 유익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연구팀은 이번 연구의 한계점도 분명히 밝혔다. 특히, 일조량과 같은 외부 요소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결국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과 유럽의 여러 국가들은 매년 봄에 시계를 한 시간 앞당기고, 가을에는 다시 표준시로 조정하는 서머타임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1949년부터 1961년까지 서머타임을 시행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다시 도입되었으나 1989년에 폐지됐다.

이러한 연구는 국제적으로 서머타임의 유익성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며, 바쁜 현대 사회에서의 건강 예방의 필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는 의미가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