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정부, 공휴일 두 날 줄이려는 계획에 국민 반발 커져

프랑스 정부가 재정 안정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공휴일 두 날을 없애겠다는 제안을 내놓자, 여론이 극도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4%가 이 같은 정책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긴축 경제 정책에 대한 국민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는 지난 7월 내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며 부활절 월요일과 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일인 5월 8일을 공휴일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개혁하지 않으면 그리스와 같은 재정 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강조하며 강도 높은 긴축 조치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정부는 공휴일 축소를 통해 연간 약 42억 유로, 즉 약 6조7000억원의 세수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조사 결과 국민 대다수는 이번 제안에 동의하지 않았다. 반대의견을 가진 응답자 중 80%는 프랑스의 연간 공휴일이 11일로 많지 않다고 응답했다. "더 많이 일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자도 59%에 달했으며, 80%는 이번 조치가 사실상 '변형된 세금'으로 느껴진다고 밝혔다. 즉, 정부가 직접 세금을 인상하지는 않지만, 국민이 쉬는 날을 잃게 되면서 더 긴 시간을 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독사 여론조사 기관의 가엘 슬리만 대표는 "프랑스인들은 개인과 직업 생활 간의 균형을 중시한다"며 "공휴일 두 날을 줄이는 것은 폭력적이고 피해를 입히는 조치로 느껴진다"고풀이했다. 그는 이 조치가 사회적 불만을 키울 수 있는 불공정의 상징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바이루 총리는 하반기 예산 논의와 오는 9월에 예정된 반정부 운동에 대비하여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다. 그러나 야당은 정부가 예산 계획을 철회하거나 수정하지 않으면 불신임안을 발의하겠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5월 8일 '승전 기념일'의 공휴일 제외에 대해서는 "역사적 망각"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의 공휴일 축소 안은 현재 국가 부채가 GDP 대비 114%에 달하고, 재정적자가 GDP 대비 5.8%에 이르는 심각한 재정 문제를 반영한 조치다. 정부는 내년 말까지 적자를 4.6%로 낮추고, 2029년까지 3% 이하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휴일의 축소는 정부의 재정 되살리기 노력의 일환으로 비춰지고 있지만, 국민의 반대에 부딪히며 그 실현 가능성이 다시금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