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우크라이나, 간소화된 평화 구상안 재합의… 트럼프도 긍정적인 반응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협상에서 간소화된 평화 구상안을 마련했다. 이 새로운 중재안은 기존의 28개 항목에서 19개 항목으로 줄어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양국 모두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영토 양보와 같은 핵심적인 사항들은 여전히 미완 상태로 남아 있으며, 최종 결정은 두 나라의 정상 회담에서 이루어질 전망이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에 따르면, 이번 협상에서는 우크라이나군의 규모를 기존 60만 명에서 80만 명으로 확대하는 조건으로 수정되었다. 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추가 확장에 대한 언급도 이전보다 완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세르히 키슬리차 우크라이나 외무부 제1차관은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초안이 마련되었다고 강조하며, 수정 사항의 범위가 크다는 점을 알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의 영토 문제와 NATO와의 관계 등 민감한 의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키슬리차 차관은 이러한 논란의 소지가 있는 사안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도록 '괄호'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이날 영상 연설을 통해 수정된 초안이 올바른 접근 방식이라고 평가하며, 민감한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과 논의할 것임을 암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협상에서 큰 진전이 있을 수 있을까? 직접 보기 전에는 믿지 말라. 그러나 긍정적인 신호가 감지되고 있을지도 모른다"라고 언급했다. 이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직접 회담 일정이 주목받고 있으며, 제네바 협상이 어떤 진전을 이룰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우크라이나가 먼저 합의를 도출하고 이후 러시아와 협상을 진행하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크렘린궁은 현재 미국과 우크라이나 측의 초안을 받아보거나 그에 대한 공식적인 브리핑을 받지 못했다고 밝히며, 수정된 조건을 수용할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구상이 우크라이나의 우려를 덜어줄수록 러시아가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작아질 것"이라고 지적하며, 이 상황이 향후 협상에 있어 복잡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