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자동차 구매 세금 일부 폐지 검토…업계 지원 목적

일본 정부가 자동차 구매 시 부과되는 특정 세금 폐지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환경 성능세'라 불리는 해당 세금은 차량의 연비 성능에 따라 0%에서 3%까지 부과되며, 2026 회계연도(2026년 4월부터 2027년 3월까지) 세제 개편안에 반영될 예정이다.
현재 일본의 중의원과 참의원은 여소야대 상황에 놓여 있어 세금 폐지를 위해서는 야당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제3당인 국민민주당은 자동차 수요 확대를 위해 환경 성능세의 폐지를 주장해왔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부가 세금 폐지를 통해 자동차 구매를 촉진하고, 일본 자동차 산업의 경우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닛케이에 따르면, 환경 성능세의 세수는 2025년도 예측치에 따르면 약 1900억 엔, 즉 약 1조8000억 원에 달하며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수입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세금 폐지가 실현될 경우 지방 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신할 만한 재원 확보가 긴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아울러 일본 정부는 이전에 휘발유에 부과되는 세금 일부를 연내에 폐지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러한 일련의 세금 조정은 정부의 재정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수입 간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공개 토론의 주제가 될 것이다. 일본은 현재 다양한 경제적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 해결책이 자동차 구매를 진작시키고 산업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데 어떤 기여를 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