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BI, 중국 해킹 그룹 솔트타이푼의 전 세계적 사이버 공격 경고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중국과 연관된 해커 조직 솔트타이푼이 전 세계 80개국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감행한 사실을 밝혔다. 이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전화 통화를 도청했으며, 100만 건이 넘는 통화 기록을 빼내고 600개 기업에 해킹을 감행한 것으로 보인다. FBI 부국장 브렛 리더먼은 이번 사건을 미국에서 발생한 가장 중대한 사이버 첩보 사건 중 하나로 평가하며, 100명 이상의 미국인들의 전화 통화와 문자메시지가 표적이 되었다고 전했다.
해커들은 미국 정부의 법원 허가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감청 요청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었으며, 이는 라우터와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장비의 알려진 취약점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솔트타이푼 작전은 최소 2019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FBI는 이들이 주로 미국의 3대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 AT&T, T모바일을 포함하여 약 600개 기업을 공격했다고 밝혔다.
특히 리더먼 부국장은 이번 사이버 공격이 단순한 정보 수집을 넘어서는 광범위하고 무차별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커들이 휴대전화의 위치 데이터까지 활용해 미국인의 해외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전 세계적 정보 수집 방식은 과거의 전통적 첩보 활동의 경계를 넘어서며, 사이버 공간의 작전 규범을 위반한 것으로 비춰진다.
FBI는 솔트타이푼의 침입을 어느 정도 차단한 상태이며, 향후 그들의 활동을 더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이날 FBI는 영국, 캐나다, 체코, 핀란드, 폴란드 등 여러 나라의 보안 기관과 협력하여 해킹에 대한 새로운 세부 정보를 담은 문서를 공개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솔트타이푼과의 연관성을 부인하며 반발하고 있다. 류펑위 주미 중국 대사관 대변인은 미국의 정보기관과 사이버 보안 업체들이 의도적으로 중국을 모함하기 위해 증거를 조작했다고 주장했고, 신뢰할 만한 증거를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모든 형태의 사이버 공격과 범죄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며, 각국의 정보 기관들이 협력하여 사이버 범죄에 대응해야 할 시급한 필요성을 보여준다. 글로벌 사이버 위협에 대한 경계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