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내각, 9개월 만에 다시 붕괴…5200조 부채 해결 못하나

프랑스 정부가 9개월 만에 다시 내각 붕괴라는 위기에 봉착하면서 정치적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20개월 동안 무려 5번이나 정부가 교체된 사실은 이 나라의 위기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이번 내각 붕괴는 긴축 예산안에 대한 의회의 강력한 반발에 기인한 것으로,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복지 예산 삭감 정책이 시민과 야당의 극심한 저항을 불러일으킨 결과로 평가된다.
프랑스의 이원집정부제 체제가 불러온 정치적 혼란은 계속되고 있다. 대통령과 의회가 별도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지명권과 의회에 대한 불신임 권한 사이의 갈등이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의 도입 자체는 극심한 정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현재 상황은 그 효과에 대한 의문을 안기고 있다. 20개월간의 내각 교체가 과거 내각제 기간과 같거나 더 불안정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프랑스의 재정 위기는 실로 심각하다. 현재 국가 부채는 3조3000억 유로에 달하며, 이는 5200조 원에 해당한다. 이러한 부채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14%에 달하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40% 이상 높은 수치로, 세계적으로도 위험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더욱이 부채는 시간당 200억 원씩 급증하고 있으며, 지난해의 재정 적자만 해도 1420억 유로 (230조 원)에 달했다.
이런 경제적 긴장 속에서 프랑스 정부는 국방 예산 증액이 불가피한 상황에 처해 있다. 유럽 주요국들과 함께 우크라이나 평화 유지군을 파병하기로 한 것 외에도, NATO와 유럽 방위 현대화 프로젝트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재정 건전성을 위해 440억 유로의 예산 삭감을 발표했지만, 이는 시민사회의 강력한 반발을 일으켰고, 전국적으로 반정부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에너지 비용 상승 등의 복합적 요인이 민생에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시민들은 정부에 다른 부문 예산을 먼저 줄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즉각적인 예산 조정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경제적 위기 속에서 IMF 구제금융이 제기되는 등 최악의 시나리오가 대두되고 있다. 적자 규모와 부채 증가 속도를 고려할 때, 현재 정책이 실패할 경우 EU 및 IMF에 의존해야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는 단순한 국내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유럽에서 두 번째 경제 대국인 만큼, 정부의 파산이 이어지면 유로화 가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재정위기가 전 유럽으로 확산될 수 있으며, 이는 경제 규모가 상대적으로 덜 취약했던 남유럽 국가들과 큰 대조를 이루며 새로운 위기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마르크롱 정부는 복지 지출을 줄이는 어려운 선택에 직면해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앞으로 다른 국가들도 복지 정책 확대에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는 단순히 프랑스 내부의 문제만이 아니라 전 세계 정부들이 배워야 할 중요한 교훈이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