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 혼조세 속 휴식기 진입

미국 뉴욕 증시에서 3대 지수가 22일(현지시간) 혼조세를 보이며 장 초반에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증시가 새로운 상승 촉매를 찾으며 안정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연방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투자 심리에 부담을 주고 있다.
오후 10시 5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2.31포인트(0.24%) 하락한 4만6202.96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31포인트(0.03%) 하락한 6662.05를 보였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4.838포인트(0.11%) 상승한 2만2656.314에 거래되고 있다.
특히, 연방의회 상원이 하원을 통과한 임시 예산안을 부결시킴에 따라, 다음 주까지 예산안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10월 1일부터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인 척 슈머는 임시예산안 통과를 위해 협조를 촉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민주당과의 협상 타결을 요청하고 있다.
이번 주 증시의 주목할 지표는 경제 지표 발표로, 이날 제조업 경기를 측정할 수 있는 9월 S&P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공개 연설이 예정되어 있다. 25일에는 2분기 미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확정치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또한, Fed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8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는 26일 발표될 예정이며, 시장에서는 전월 대비 0.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바클레이스의 에마뉘엘 커 유럽 주식 전략 수석은 “주식이 최고치에 근접했고 금리 시장은 내년에 추가 금리 인하를 반영하고 있다”며, “추가 상승은 고정된 거시경제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판뮤어 리베룸의 요아킴 클레멘트 전략가는 “이번 주는 거시경제 측면에서 가장 조용한 주간이 될 것으로 보이며, 시장은 소문 및 투자 심리에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한편, 국채 금리는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4.13%, 2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3.57%로 전 거래일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개별 종목에서는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가 비만 치료제 개발사 멧세라를 49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멧세라는 62.4%의 급등세를 기록했다. 화이자는 2.89% 상승세를 보였으며, 오라클은 중국 바이트댄스가 틱톡 미국 사업권을 미 기업에 매각한 뒤 데이터 관리업무를 맡는다는 소식에 0.14% 상승했다. 반면, 테슬라는 3.87%로 뛰어오른 반면 엔비디아는 0.7% 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