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부터 모은 손톱, 전통 의학 약재로 판매…가격은 ㎏당 3만원"

중국 허베이성의 한 여성이 어릴 적부터 모은 손톱을 전통 의학 약재로 판매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손톱 약재의 가격은 1㎏당 150위안, 즉 약 3만원에 해당한다. 이 여성은 어린 시절부터 손톱을 단순히 버리지 않고 모아왔다. 이는 사소한 버릇이 아니라 전통 약재의 일환으로서, 손톱이 가진 효능을 염두에 두고의 행동이었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손톱을 '진퇴'라고 부르며, 열과 독소를 제거하고 상처 회복에 기여하는 치료 성분으로 여겨진다. 당나라 시대의 의사인 손사막의 고서인 '천금요방'에도 손톱을 활용하는 여러 가지 처방이 기록되어 있다. 과거에는 부모들이 자녀의 손톱을 태워 만든 재를 사용하여 치료하는 사례가 있었고, 1960년대까지 병원에서도 처방하던 때가 있었다.
그러나 손톱을 약재로 사용하는 것은 점차 줄어들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손톱이 구하기 어려운 자원이라는 점이다. 성인이 1년 동안 자라는 손톱의 양은 평균 100g에 불과하여, 이를 약재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2018년 중국의 특허 약품 '후옌완'에 손톱이 재료로 사용되면서 다시금 주목을 받게 되었다. 후옌완은 인후염 치료에 사용되며, 중의학의 고전적 처방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톱의 출처와 위생 문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일부 누리꾼들은 "손톱은 오염물질이 많아 더욱 더럽다"거나 "발톱이 섞여 있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청두중의약대 리지민 교수는 "의료 회사들이 학교와 마을에서 손톱을 수집하며, 철저한 세척과 살균 과정을 거친 후 열처리하여 분말로 만들어 약재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의 전통한의학에서도 손톱을 약재로 사용했었다는 기록이 있다. 동의보감 등 여러 고전 의서에서는 손톱을 갈거나 태워 배앓이, 유아의 이상행동, 백태 제거, 산후 회복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위생과 윤리적 문제로 인해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전통 의학이 손톱이라는 이색적인 자원을 재조명하면서, 여전히 손톱이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통 약재로서 손톱의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