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이란에 대한 제재 복원…이란은 강력 반발 표명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란의 핵 합의 위반을 이유로 대이란 제재를 10년 만에 공식 복원했다. 유엔 안보리 결의 2231호에 따른 스냅백 조치로, 이란의 석유 및 금융 부문에 대한 제약과 무기 금수 조치가 다시 시행된다. 이란 정부는 이번 조치를 "법적 근거 없는 불법적 상황"이라고 강력히 반발하며, 국가 이익을 수호할 것임을 천명했다.
제재 복원 절차는 28일(현지시간)에 공식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란의 우라늄 농축 및 탄도 미사일 기술 이전도 금지된다. 또한 관련 개인과 기관에 대한 자산 동결 조치도 부활하게 된다. 이란 외무부는 성명에서 폐기된 결의를 복원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판하며, 향후 국제 사회에서 모든 훼손 시도에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제재위원회와 전문가 패널을 부활시키려는 모든 시도를 저지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이란의 경제난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40%가 넘는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란의 상황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이란 리알화는 이번 제재 복원 소식 직후 달러당 112만 리알로 폭락하며 역사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 핵 합의 당시의 환율인 달러당 3만2000리알과 비교할 때, 10년 만에 통화 가치가 35분의 1로 하락한 것이다. 이란 정부는 이러한 경제적 압박이 자국의 국가 이익을 지키기 위한 단호한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반면 이스라엘 외무부는 유엔의 제재 복원이 "핵으로 무장한 이란을 저지하기 위한 주요 진전"이라고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국제 사회의 연대가 이란의 핵 능력을 억제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란과 국제 사회 간의 갈등은 계속해서 심화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이란의 정치적 및 경제적 상황은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유엔의 제재가 이란의 핵 야망을 억제할 수 있을지, 그리고 이란 정부가 이러한 제재에 어떻게 대응할지는 앞으로도 지켜봐야 할 중요한 사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