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기술주 강세에도 혼조세…셧다운 우려와 고용보고서 불확실성

미국 뉴욕 증시는 29일(현지시간)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반등이 이어지고 있지만 시장 전반에 걸친 불안 요소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지난주에는 AI 랠리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주요 지수들이 하락세를 보였고, 이번 주 첫 거래일인 오늘은 그러한 반발 매수세가 감지되고 있다.
오전 11시 41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76.13포인트(0.16%) 하락한 4만6171.16을 기록하고 있으며,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4.8포인트(0.22%) 상승한 6658.5로 거래되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17.056포인트(0.52%) 오른 2만2601.124에 거래되고 있다. 특히, 미국 비디오 게임 업체 일렉트로닉 아츠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가 주도하는 투자 컨소시엄에 550억 달러에 인수되어 비상장사로 전환될 것이라는 소식에 4.79% 상승 중이다. 기술주들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엔비디아는 2.22%, 마이크로소프트는 0.32%, 테슬라는 0.38% 상승하고 있다.
지난주에는 시장에서 AI 랠리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주요 지수들이 모두 하락했다. AI 관련 주가의 고평가 분석과 거품론, AI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는 관점이 공존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졌다. 바클레이스의 베누 크리슈나 미국 주식 전략 수석은 "AI 설비투자는 둔화될 조짐이 보이지 않으며, 다른 산업들도 AI 인프라 지출 증가로 혜택을 보고 있다"며, "AI가 세계 성장의 중심이 되면서 기술 중심 섹터의 S&P500지수는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투자자들은 연방정부 셧다운 가능성과 고용 보고서에 주목하고 있다. 의회가 30일 종료되는 2025회계연도 예산안 처리에 실패한 경우, 10월 1일부터 일부 연방정부 기관의 운영이 중단될 위험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원에서 최소 7명의 민주당 의원의 지지가 필요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 지도부와의 회동을 통해 이러한 방안이 실현될지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의 비협조가 지속된다면 대규모 정부 공무원 해고도 경고한 바 있다.
이번 주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제 지표는 3일 발표될 9월 고용 보고서이다. 시장에서는 비농업 신규 고용이 5만1000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8월의 2만2000건보다 개선된 수치이다. 실업률은 4.3%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는 노동시장 냉각을 이유로 금리를 인하한 바 있으며, 이번 고용지표가 향후 금리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월가는 고용지표가 너무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중간 정도의 결과가 나와야 강세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하그리브스 랜즈다운의 에마 월 수석 투자 전략가는 "시장은 올해 2회의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하지만, 연준 의장은 확신하지 못한다고 언급했다"며, "견조한 일자리 시장과 높은 인플레이션은 연준이 금리를 현재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고용지표를 정책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상무부가 발표한 8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는 전년 대비 2.7% 상승해 예상치에 부합하였으나, 7월보다 상승폭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