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호주 공포영화 동성혼 장면 성별 조작…AI 기술로 검열 사건 발생"

최근 중국에서 호주 공포영화 '투게더'의 동성 결혼 장면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이성 결혼 장면으로 변경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큰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사건은 특히 영화의 원작자 및 LGBTQ+ 커뮤니티의 창작 의도를 왜곡한다는 점에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해당 영화 '투게더'는 시골로 이주한 젊은 부부가 겪는 기괴한 신체 변화를 다룬 공포물로, 지난달 12일 일부 중국 극장에서 개봉했다. 그러나 관객들은 영화 속 두 남성이 결혼하는 장면이 AI 얼굴 합성 기술을 통해 한 남성의 얼굴이 여성으로 교체된 것을 발견했다. 이 사실이 밝혀지자 관객들은 원본 장면과 수정된 장면을 비교하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하고, 이 자극적인 영상이 중국 당국의 디지털 변조 검열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영화의 배급사는 이 논란이 확대되자 원래 계획했던 전국 개봉일인 지난달 19일을 취소했다. 이에 대해 현지 누리꾼들은 "AI 합성은 창작자의 의도를 심각하게 왜곡한 행위"라며, "공포영화보다 더 무서운 것은 현실의 검열이다"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중국의 콘텐츠 검열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과거에도 중국에서는 다양한 해외 콘텐츠가 LGBTQ+ 관련 요소로 인해 삭제되거나 편집된 바 있다. 예를 들어, 2018년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는 주인공 프레디 머큐리의 성 정체성과 관련된 고뇌 장면이 삭제되었고, 인기 시트콤 '프렌즈'에서도 레즈비언 캐릭터의 대사가 사라지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동성애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LGBTQ+ 콘텐츠 및 관련 단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오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창작자들에게는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으며, 관객들에게는 극장 관람의 경험조차 왜곡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중국 사회의 근본적인 검열 문화와 LGBTQ+ 권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문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아야 할 시점이다. 영화 '투게더'의 경우처럼, 단순한 삭제가 아닌 더 교묘한 방법으로의 검열은 영화의 본래 의도를 왜곡함으로써 문화의 다양성을 해치고,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의 상징인 영화 매체에 대하여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