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세대, 공연 관람을 위해 먼 거리 여행…지역 경제에 긍정적 영향"

최근 중국에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라이브 공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음악 콘서트, 연극, 스탠드업 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의 현장 관람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들은 단순히 공연 관람을 넘어 숙박, 외식, 관광 등 연계 소비를 통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공연예술협회(CAPA)에 따르면, 올해 7~8월 사이 전국에서 진행된 상업 공연은 12만6300건에 달하며, 관람객 수는 42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150억 위안(한화 약 2조9478억 원)의 수익이 발생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9% 증가한 수치이다. 반면, 영화 산업은 여전히 침체기를 겪고 있으며, 지난해 중국 박스오피스의 영화 매출은 42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라이브 공연 중에서도 연극이 가장 인기를 끌고 있으며, 공연 횟수와 매출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스탠드업 코미디는 공연 횟수와 매출에서 각각 54%, 135% 증가하는 등 큰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이 경험과 감동을 중시하는 소비 패턴으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람객들이 먼 거리까지 공연을 보기 위해 이동하는 '원정 소비' 현상도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산시성의 25세 남성 관객은 최근 상하이에서 열린 음악 페스티벌을 관람하기 위해 왕복 1200km를 여행했으며, "현장에서 음악을 듣는 것은 특별한 경험"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처럼 한 번의 공연 관람에 약 2000 위안(한화 약 39만 원)을 소비하는 이들은 현지의 명소와 음식을 즐기며 여행처럼 소모하고 있다.
티켓 경제와 관련한 '티켓토믹스'(ticketomics) 전략이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공연 티켓 구매 시 숙박 및 외식, 쇼핑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관람객들의 소비를 촉진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베이징 국제영화제와 같은 행사에서는 티켓 소지자가 1100여개 가맹점에서 할인 혜택을 받아 251억7000만 위안(한화 약 4조9464억 원)의 소비를 유도하기도 했다.
푸단대 관광학과 부교수는 "현재의 공연 관람은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경험과 교감을 중심으로 한 관광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전하며, "젊은 세대는 더 많은 비용을 문화적 경험에 지불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의 젊은이들은 이전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으며, 소득 증가와 함께 문화적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흐름은 중국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장하며, 공연 티켓 1위안에 대해 최소 4.8 위안(한화 약 940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발생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상하이에서 열린 뮤지컬 '식스' 관람객 중 30.8%는 외지에서 찾아왔고, 공연 기간 동안 인근 숙박업소 요금은 2~3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연 관람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