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AI 붐 후 조정세로…다우지수, S&P500, 나스닥 모두 하락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뉴욕증시, AI 붐 후 조정세로…다우지수, S&P500, 나스닥 모두 하락

코인개미 0 10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가 9일(현지시간) 모두 하락세로 마감했다. 이는 전날 인공지능(AI) 관련 긍정적인 전망이 제기되며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나타난 조정 국면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가운데 AI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 엔비디아는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날 다우지수는 243.36포인트(0.52%) 내려 4만6358.42로 마감했다. S&P500지수도 18.61포인트(0.28%) 하락하여 6735.11로 마감했으며, 나스닥지수는 18.75포인트(0.08%) 감소해 2만3024.626에 장을 마쳤다.

엔비디아는 주당 192.57달러로 마감하며 1.83% 상승, 새로운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엔비디아 반도체 수출을 승인한 것이 주요 호재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오라클은 3.06% 상승했고, 델타항공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4.29% 오른 반면, 테슬라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사고에 대한 미국 자동차 안전 규제당국의 조사 착수 소식에 0.72% 하락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1.56%와 0.47% 하락세를 보였다.

현재 증시는 AI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과 고평가 우려가 뒤섞인 상황에서 조정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지난 6개월 간 컴퓨팅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고 발언한 것이 AI 투자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고, 여기에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도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4월 이후 주식시장이 36% 상승한 상황에서 이러한 조정이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판단된다.

앱터스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데이비드 와그너는 "4월 급락 이후 주식시장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과열 우려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저가 매수 전략이 유효하더라도 시장의 변동성이 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는 여야 대치 속에 9일째 이어지고 있다. 상원이 임시 예산안을 표결했으나 다시 부결되며 공화당과 민주당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의 프로그램 삭감을 언급하며 정치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투자자들의 주요 관심사는 3분기 기업 실적 발표로 집중되고 있으며, 골드만삭스와 시티그룹 등 주요 기업들이 다음 주에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테슬라는 22일에,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는 29일에 실적을 공개할 예정으로, 이들의 실적에 따라 AI 투자 열풍의 지속 가능성이 판단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문디 인베스트먼트 인스티튜트의 에이단 야오 전략가는 "현재 시장의 기대가 한쪽으로 쏠린 상태"라며 "투자자들은 실적이 높은 평가가치를 뒷받침하는지를 확인하려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미 국채 금리는 큰 변동 없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10년물 금리는 4.14%, 2년물 금리는 3.59%로 각각 1bp 상승한 수준이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