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칩 공급 부족, AI 붐으로 전자제품 가격 인상 우려 확대
최근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경쟁으로 인해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메모리칩의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델 테크놀로지스와 HP는 2026년에 메모리칩 공급 부족이 우려된다는 경고를 발표했다. 레노버는 메모리칩 비축량을 평소보다 약 50% 늘렸으며, 대만의 PC 제조업체인 에이수스도 추가 재고 확보에 나선 상황이다.
AI 칩 수요의 급증이 메모리칩 부족의 간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메모리칩은 정보 저장에 사용되는 일반 칩과 AI의 고속 연산 처리를 지원하는 HBM(고대역폭 메모리)으로 구분되며, 메모리칩 제조업체들은 AI 서버용 고성능 칩의 생산을 늘리고 있어 일반 메모리칩의 공급이 부족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은 델의 제프 클라크 최고운영책임자(COO)도 인식하고 있으며, 그는 "메모리칩 관련 비용이 이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처음 경험한다"며 원가 상승을 경고했다.
메모리칩 공급 부족은 휴대전화부터 의료기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제조 비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HP의 엔리케 로레스 CEO는 2026년 하반기가 특히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며, 필요할 경우 제품 가격 인상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HP는 일반 PC의 제조 비용에서 메모리칩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15~18%로 추정하고 있다.
메모리칩 재고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 주요 메모리칩 제조업체들의 주가는 최근 몇 달 동안 급등했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9월 메모리칩 공급 과잉 우려에 대한 비관적 보고서를 발표했으나, 최근의 보고서에서는 AI 수요의 증가로 인해 메모리칩 시장이 가격 상승 등 호황을 누릴 것으로 전망을 전환했다.
결론적으로, AI 붐으로 인한 메모리칩 공급 부족은 전자제품 가격 상승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앞으로의 시장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비축량을 늘리고 가격 인상을 고려해야 할 시점에 이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