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지난해 납세액 42배 증가…역대 최대 실적 기록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SK하이닉스, 지난해 납세액 42배 증가…역대 최대 실적 기록

코인개미 0 10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덕분에 납세액이 전년도에 비해 무려 42배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7일 공시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연간 납세액은 2023년 851억원에서 2024년 3조5545억원으로 늘어났다. 이러한 급증의 배경에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기술력이 국제 시장에서 인정받으며 실적이 개선된 것이 크게 작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경제 간접 기여 성과는 지난해 총 11조9867억원으로 2023년의 4조9591억원에 비해 14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고용' 부문은 2023년에 비해 74% 증가하여 6조9071억원에 달했고, 주주에게 분배된 '배당' 역시 68% 늘어나 1조5251억원에 도달했다.

작년 SK하이닉스의 매출은 66조1930억원, 영업이익은 23조4673억원으로, 이 모든 성장은 회사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의 극대화를 이끌어냈다. SK하이닉스의 관계자는 "2023년 적자에서 2024년 최대 흑자로 전환하며 세금 납부액이 대폭 증가했다"며,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위한 더욱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반면, 같은 기간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납세액은 감소하거나 제자리 걸음을 했다. 삼성전자는 2024년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2023년과 동일한 8조2000억원을 납부했다고 밝혔으나, 이는 2022년 13조원보다 크게 줄어든 수치다. 이러한 변화는 반도체 업황의 부진과 가전시장 침체가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차 또한 보고서에서 법인세가 2023년 총 4조6270억원에서 2024년 4조2320억원으로 8.5%가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LG전자도 '지불된 현금 세금'이 2023년 1조146억원에서 2024년 980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경제 단체 관계자는 "기업이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세수 증가와 한국 사회 복리 증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새 정부의 기업 지원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한편, 삼성전자와 현대차는 경제 기여액이 각각 역대 최대 규모로 집계된 것을 알렸다. 삼성전자는 2024년 경제 가치 분배가 285조8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5.8% 증가한 수치이다. 현대차 역시 경제적 가치 배분이 2.1% 증가하여 115조9820억원으로 늘어났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