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불법이라는 법원 판단, 대법원 상고 시사

홈 > 투자정보 > 국내뉴스
국내뉴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불법이라는 법원 판단, 대법원 상고 시사

코인개미 0 9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미국 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부과한 많은 관세가 '불법'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워싱턴DC 연방순회항소법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의 근거로 삼은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대해 명확한 언급이 없음을 지적하며, 이는 대통령에게 무제한적인 관세 부과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해당 법원은, “IEEPA는 대통령에게 광범위한 비상조치 권한을 부여하지만, 관세를 다루고 있지 않으며 절차적 안전장치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 정황 속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법원의 판단은 정치적 편향에 따른 것”이라며 재판부를 비판했다. 그는 관세가 없어질 경우 미국에 심각한 재앙이라고 강조하며, “각국이 부과한 불공정한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더 이상 감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대법원에 항소할 계획을 내비치며 “대법원의 개입을 통해 우리나라에 유리한 방향으로 관세를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판결은 트럼프 대통령이 IEEPA를 근거로 시행했던 상호관세를 철회하라는 지난 5월의 국제무역법원(USCIT)의 판결에 대한 정부의 항소에 따른 결과다. 법원은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판결로 인한 관세 조정 시점을 10월 14일까지로 설정했다.

IEEPA는 1977년 제정된 법으로, 주로 적국에 대한 제재를 위해 사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위해 이 법을 활용한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되고 있다. 그는 취임 이후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을 포함하여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 전쟁을 선언했고, 이는 펜타닐 유입 등을 주된 이유로 삼았다. 그러나 철강 및 알루미늄과 같은 특정 품목의 관세는 이번 소송의 대상이 아니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워싱턴DC 법원에서도 IEEPA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를 승인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린 것으로 보도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법원 판결 및 트럼프 대통령의 항소 계획은 향후 미국의 무역 정책 및 국제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그가 주장한 많은 관세가 유효하다는 점은 미국 경제, 특히 무역적자 해소와 관련하여 예상치 못한 긴장감을 높일 수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