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혁신, 삼성전자에 긍정적인 영향 미쳐

홈 > 투자정보 > 국내뉴스
국내뉴스

구글 AI 혁신, 삼성전자에 긍정적인 영향 미쳐

코인개미 0 7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구글의 제미나이3.0 기능이 챗GPT의 성능을 초월한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인공지능(AI) 시장의 주도권이 구글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엔비디아의 혜택을 받던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소폭 하락한 반면, AI 생태계의 확장과 함께 삼성전자의 주가는 크게 반등하고 있다.

26일 삼성전자는 전날 대비 3.52% 상승한 10만28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장중 50만1000원까지 하락했다가 0.96% 상승하며 거래를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날에도 SK하이닉스를 순매도하며 2160억원어치를 매도했으며, 이는 7거래일 연속으로 이어졌다. 반면 삼성전자 주식은 2120억원어치가 순매수되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 3거래일 간 삼성전자의 주가는 8.4% 상승했으며, SK하이닉스는 5.7%에 그쳤다. 전달까지는 SK하이닉스의 주가 상승세가 삼성전자를 앞섰으나, 구글의 제미나이3 출시 이후 양상이 반전됐다. 3거래일 간 엔비디아 주가는 0.6% 하락한 반면, 알파벳(구글 모회사)은 7.9% 상승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 주가는 엔비디아 주가에 대한 동조화 현상이 두드러져 주가의 하락세가 이어졌다.

삼성전자는 이제 엔비디아 GPU 공급망 의존도가 낮아지는 가운데 D램에 더 집중하는 시장 분위기 속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구글 TPU(텐서 처리 장치)의 발전으로 AI 산업의 변화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브로드컴을 통해 구글 TPU 설계 및 생산에 참여하며 메모리 공급을 할 수 있는 점유율 1위 기업으로서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글 제미나이의 출현으로 인해 오픈AI의 투자 열풍이 완화되면서 AI 생태계의 확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통상적인 반도체 솔루션을 공급하는 삼성전자가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SK하이닉스 주가는 HBM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바탕으로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HBM 선도자 프리미엄의 약화 우려가 커지며 주가가 떨어지고 있다. 메타와 구글 간의 계약 체체결 등으로 인해 엔비디아의 위상이 흔들릴 수도 있다는 예상이 주가의 향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글 생태계의 확장으로 SK하이닉스 또한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한다. 대신증권의 정해창 연구원은 "구글과 브로드컴의 TPU 밸류 체인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HBM은 필수적인 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삼성전자가 '10만전자'를 회복하며 저가 매수세가 급증하자, 코스피는 전일 대비 2.67% 상승하며 상승 종목이 773개에 이르렀고, 이는 대형주들의 강세로 이어졌다. 외환시장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경고와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달러당 원화 강세로 이어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도 확인됐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