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투자계좌(IMA)와 발행어음 사업 진출, 긍정적인 전망 속 경쟁 우려는 이르다
하나증권은 27일 보고서를 통해 종합투자계좌(IMA)와 발행어음 사업으로 인한 증권 업종의 향후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로 인한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우려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분석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9일 제20차 정례회의에서 한국투자증권 및 미래에셋증권을 자기자본 8조원 이상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로 지정하였고, 키움증권도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종투사로 인정받았다. 이들 회사는 연내에 각각 IMA와 발행어음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발행어음은 만기 1년 이내의 원리금 확정형 상품으로, 이는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종투사만 취급할 수 있다. 반면, IMA는 예탁금을 통합적으로 운용하여 실적을 배분하는 실적배당 및 원금지급형 상품으로,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투사만 취급할 수 있다.
현재 발행어음 인가를 기다리고 있는 회사로는 삼성증권, 메리츠증권, 하나증권, 신한투자증권이 있으며, IMA 인가 대기 중인 증권사는 NH투자증권이 있다. 발행어음과 관련해 신규 사업자 증가로 인한 경쟁 심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이는 아직 초기단계라는 것이 하나증권의 판단이다. 즉, 모든 신규 사업자가 인가를 받을 경우 이론적으로 가능한 신규 조달금액은 약 64조원에 달하지만, 실제 발행률이 50%에 불과할 것으로 보아 이들로부터의 신규 조달금액은 약 16조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존 참여자들인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의 발행어음 한도 소진 속도를 감안할 때 단기적으로는 경쟁 심화로 인한 물량 확보 및 수익성 훼손 가능성을 예측하기에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IMA와 발행어음 사업을 통해 리테일과 기업금융(IB) 부문 간 시너지의 확대가 기대된다. 특히 키움증권은 발행어음을 이용하여 장기 기업 대출과 기타 투자 자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IB 부문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하나증권의 고연수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정부의 모험자본 공급 활성화 기조에 따라 증권사의 위험 인수 영업이 본격화할 경우, 개별 증권사 간 우량자산 선별 능력과 리스크 관리 역량에 따른 실적 차별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시각은 증권 시장의 변동성이 큰 현재 상황에서 향후 기업들이 어떻게 생존하고 성장할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