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상승세로 S&P500·나스닥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홈 > 투자정보 > 국내뉴스
국내뉴스

기술주 상승세로 S&P500·나스닥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코인개미 0 12
itle="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style="max-width:100%; height:auto;">


미국 뉴욕 증시에서 기술주가 주도한 나스닥 종합지수와 S&P500 지수가 각각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마감하였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지난달 3일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인 1.12% 오르면서 시장을 끝냈다. 8일(미국 동부시간) S&P500 지수는 39.13포인트(0.58%) 오른 6,753.72를 기록했으며,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0포인트(0.00%) 하락한 46,601.78로 마감했다.

이날 나스닥 지수 상승은 전일 오라클의 엔비디아 칩 대여 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가 시장에 미쳤던 영향을 단 하루 만에 만회한 데 기인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인공지능(AI) 산업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시장 붕괴 가능성을 경고하면서도, 여전히 AI 수요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AI 투자 전략의 유효성을 점치고 있다.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의 라라 캐슬턴 포트폴리오 구성 및 전략 책임자는 "올해 시장의 주요 동력은 기술주와 AI 관련 이야기"라며, "이러한 흐름은 지속적으로 헤드라인을 차지하고 있으며, 모든 것을 흡수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AI 수요가 여전히 강하다고 평가하며, 엔비디아가 현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또한 AI 기술의 능력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그 뒤에 있는 소프트웨어 및 칩에 대한 실질적인 수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투자자들은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증시 상승세가 흔들리지 않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날 공개된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FOMC 의사록에서 다수의 위원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추가적인 정책 완화가 적절할 것이라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록은 "대부분의 참가자는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커졌기 때문에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보다 중립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한다.

시장에서 10월 말 회의에서도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의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의 참여자들은 연준이 이달에 금리를 낮출 가능성을 92.5%로 보고 있다. 트레이드스테이션의 데이비드 러셀 전략가는 이날 공개된 의사록에 대해 "주식 투자자들은 여전히 자신감이 있지만, 연말로 가면서 금리 환경이 덜 유리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월가의 공포지수'로 통칭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 대비 5.45% 하락하여 16.30을 기록했다. 이러한 변동성이 완화된 시장에서도 투자자들은 계속해서 기술주에 대한 신뢰를 표시하고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