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지지 속에 되살아나는 탈중앙화 금융, 안정성이 중요하다

탈중앙화 금융(DeFi)의 투자 열풍이 3년 만에 다시 불고 있다. 2022년 테라의 붕괴와 FTX 파산 사건으로 인해 디파이 시장은 큰 위기를 겪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후 전통 금융 기관들의 진출과 스테이블코인 열풍이 이를 다시 일으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다시금 집중되고 있다.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은행이나 증권사와 같은 중개 없애고 활용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으로, 예금자에게는 더 높은 이자, 대출자에게는 낮은 금리, 거래자에게는 수수료 절감혜택을 제공한다. 하지만 중개자의 부재로 인해 거래 상대방이나 플랫폼에 대한 신뢰 이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22년 테라와 FTX 사건은 디파이의 단점을 여실히 드러낸 예다. 알고리즘으로 가격을 고정한다고 주장한 테라가 급락하면서 수백 조원의 시가총액을 단 3일 만에 잃은 일은 많은 투자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웠다. 그러나 올해 들어 블랙록과 같은 전통 금융사들이 디파이에 뛰어들고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급성장하며 다시 활기를 띄고 있다.
특히 디파이 시장의 총예치 규모는 9월 말 기준으로 200조원을 회복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성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와 맞물려 있다. SEC와 CFTC가 가상화폐의 제도권 편입을 위한 정책과 제도 개선을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새로운 정책 발표도 잇따르고 있다. 이는 디파이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고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 금융권의 디파이 시장 진출도 중요한 요소다. 주식 등의 자산을 블록체인에 올리는 실물자산토큰화가 진행되면,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블랙록은 '비들'이라는 머니마켓펀드를 토큰화하여 수십억 달러 규모로 성장시켰고, 현재 엘릭서와 협력하여 디파이를 통한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디파이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중앙화된 관리 주체의 부재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프로그램 오류나 해킹의 위험도 상존한다. 2022년에 발생한 사건들은 그 위험성을 잘 보여주는 예로 남아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높은 수익률보다 낮은 위험을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안정적으로 운영된 장기 프로젝트에 주목하면서, 반대로 잘 확인되지 않은 신생 프로젝트には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예로 체인링크는 디파이 산업에서 외부 데이터를 연결하는 오라클 역할을 하며 안정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유니스왑 역시 오랜 이력을 가지고 있는 디파이 대표 코인으로, 안정된 경제 구조를 기반으로 높은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하이퍼리퀴드와 같은 신생 코인은 높은 변동성을 동반하기 때문에 투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정치적 논란 속에 급성장하고 있는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이들은 실제로 많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지만, 정부와의 연관성이 있는 만큼 이해충돌 논란이 있어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들여다보면, 디파이 시장의 재편과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은 향후 더욱 큰 변화와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안정성과 저위험을 최우선으로 두고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