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방시혁 의장, 부당이득 의혹 규모 지속적으로 감소 중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상장 과정에서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혐의 액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초기에는 1조2000억원의 부당이득이 언급됐다가 현재는 1900억원과 1200억원으로 줄어드는 형국이다. 이와 관련하여 시장에서는 방 의장을 겨냥한 의혹이 점차 의혹의 '거품'이 걷혀가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방 의장은 2018년 4월 스틱인베스트먼트와 2019년 11월 메인스톤 2호와의 두 차례에 걸쳐 빅히트의 구주 투자자 지분을 구입하면서 새로운 기관투자자들과 '주주 간 계약'을 체결했다. 이러한 계약은 상장 실패 시 방 의장이 보유 지분을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되사는 '풋옵션'과, 상장이 성공할 경우 PEF의 투자 이익 중 30%를 방 의장이 배분받는 '언아웃'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감독당국은 방 의장이 구주 투자자에게 상장 지연을 기망하고, 새로운 투자자와의 계약을 통해 부당이득을 챙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사건이 불거진 이후 방 의장의 부당이득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으며, 초기에는 전체 투자자들이 벌어들인 1조2000억원이 방 의장과 연결되는 것으로 보도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방 의장이 언아웃을 통해 배분받은 4000억원으로 주목이 쏠리더니, 현재는 1900억원과 1200억원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언아웃 배분액 4000억원에서 세금을 제외한 ‘세후 수익’으로 해석하지만, 이는 실제 사실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지난 7월 증권선물위원회는 방 의장을 검찰에 고발하며, 기존 주주들을 상장 지연 가능성으로 기망하고 하이브 임원이 관여한 PEF에게 주식을 매각하도록 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이는 스틱과의 주주 간 계약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에서 다루어진 부분이다.
조사에 따르면, 스틱은 1998년에 설립된 국내 선도 벤처캐피탈로, 하이브측 인사가 관여한 사실이 없음이 확인됐다. 결국 방 의장이 메인스톤을 통해 배분받은 금액은 1200억원에 그치며, 나머지 700억원은 메인스톤 관계자 등 다른 3인의 이익을 포함한 수치로 나타났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현재 방 의장의 부당이득 의혹은 계속 줄어들고 있으며, 앞으로 수사에서 보다 명확한 사실관계가 드러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방 의장에 대한 의혹이 점차 구체화되고 후속 수사가 진행됨에 따라 이 사건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