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파츠 제조업체 CMTX, 코스닥 상장 절차 본격화

홈 > 투자정보 > 국내뉴스
국내뉴스

반도체 파츠 제조업체 CMTX, 코스닥 상장 절차 본격화

코인개미 0 11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반도체 식각 공정용 실리콘 파츠 제조기업 CMTX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코스닥 상장 절차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CMTX는 이번 IPO(Initial Public Offering)를 통해 총 100만 주의 신주를 모집하며, 주당 공모가 희망범위는 5만1000원에서 6만500원에 달한다. 이를 통해 기대되는 총 공모액은 510억 원에서 605억 원 사이이며, 상장 이후 예상 시가총액은 4730억 원에서 5612억 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요예측은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4일까지 5거래일 간 진행될 예정이며, 이후 11월 10일부터 11일 사이에 일반 청약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CMTX는 올해 연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 맡고 있다.

CMTX는 2013년도에 설립된 이후 반도체 식각 공정용 세라믹과 사파이어 부품을 시작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이제는 실리콘 링과 전극과 같은 핵심 소모성 실리콘 부품을 제조하고 있다. 특히, CMTX는 실리콘 잉곳 생산부터 최종 파츠 제조에 이르는 전 공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수직 계열화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자회사를 통해 연간 200톤 규모의 단결정 및 다결정 실리콘 잉곳을 생산하고 있으며, 소재 내재화를 실현한 바 있다.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업계에서는 기존의 장비사를 경유하지 않고 부품사와의 직접 거래로 전환하는 '애프터 마켓'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요 반도체 팹들은 장비사의 마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공정별 데이터를 직접 확보하여 엔지니어링 역량과 공정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CMTX는 국내 대형 팹 고객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TSMC와의 1차 협력사로도 알려져 있으며, 3나노미터에서 2나노미터 사이의 선단공정 양산 라인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CMTX는 세계 최초로 실리콘 파츠 재활용 기술을 확보하여 폐 파츠를 고순도로 정제해 신품과 동등한 성능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 인해 비용 절감 효과와 연간 1억3500만 원 수준의 탄소배출권 창출이 가능해지는 사업모델을 구축하였다. 현재 CMTX는 국내 대형 팹과 공동 공정 평가를 진행 중이며, 마이크론의 재활용 부품 공정 인증 테스트도 통과하였다.

회사는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773억 원에 달하며, 이는 전년 동기 400억 원 대비 93% 증가한 수치이다. 영업이익은 263억 원으로, 지난해 50억 원과 비교해 무려 417%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34%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의 연결 기준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은 142%에 달하는 등 인상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CMTX는 이번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구미 제2공장(M Campus) 증설에 활용할 계획이며, 이는 기존의 생산 능력을 5배로 늘려 국내외 팹의 증대하는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또한, 소재 재활용 기술을 고도화하고 신규 공정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 역시 진행될 예정이다.

CMTX의 박성훈 대표는 "전 공정 수직계열화를 통해 확보한 원가 경쟁력과 우수한 품질을 기반으로, 전 세계 반도체 부품 시장에서 회사 가치를 강력히 입증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