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비정규직 비율 역대 최대…320만 청년 '쉬었음 인구' 증가 우려
2030 청년세대의 비정규직 비율이 최근 21년 만에 최고 수준에 달하며, 안정적인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20·30대의 임금 근로자 811만명 중 비정규직이 257만명에 이르렀다. 이는 이전에 비해 고용 안정성이 더욱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규직 노동자는 지난 2015년 612만8000명에서 현재 554만1000명으로 약 58만7000명 줄어든 반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같은 기간 44만5000명이 늘어났다. 특히, 기간제 근로자의 수는 2015년 104만8000명에서 올해 159만명으로 약 54만2000명 증가했다. 기간제 근로자는 고용주가 계약을 쉽게 종료할 수 있어, 기업의 고용 방식이 단기적이고 불안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새롭게 창출된 청년 일자리 수치 또한 결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올해 2분기 30대 이하 임금 근로자 수는 744만3000개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신규 채용 일자리는 불과 240만8000개에 그친다. 이 신규 채용 비율은 32.4%로, 최근 5년 동안 최저 수준에 해당한다. 이는 청년층의 일자리 질과 양 모두 최악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이 심화되면서 취업과 구직을 포기한 비경제활동 인구의 '쉬었음 인구'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 2023년 3분기, 20·30대의 '쉬었음' 인구는 73만6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에 도달했다. 이는 청년층이 경제활동 참여를 포기하는 경향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청년 고용 부진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최근 회의에서 "청년층을 위한 맞춤형 고용 서비스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히며, AI 교육 및 직업 훈련을 확대할 계획을 서명했다. 또한, 청년 창업을 incentivize하기 위해 AI 분야에서의 벤처 창업을 지원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회의에 참석한 고용노동부 관계자도 "지난 9월 발표된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통해 청년 일경험을 확대하고, 쉬었음 청년을 위한 체계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청년층의 비정규직 증가와 고용 불안정 심화 문제는 단순한 고용 수치의 변화가 아니라, 이 세대의 삶의 질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