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 미국 고용지표 호조에 하락 마감

홈 > 투자정보 > 국내뉴스
국내뉴스

국내 증시, 미국 고용지표 호조에 하락 마감

코인개미 0 6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25일(현지시간) 국내 증시는 하락세로 마감했다. 미국의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인 가운데, 2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가 상향 조정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들고, 덩달아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원화 역시 하락세를 타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코스피 지수는 전기전자 업종이 -3.82%, 제조업 -2.88%, 건설업 -2.79% 등으로 하락했다. 특히, 최근 강세를 보였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외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새로운 품목의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주가가 각각 -3.3%, -5.6% 하락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한편, 미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PCE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와 소득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미국 경제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물가는 예상치에 부합하여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고, 필수소비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인텔은 애플로부터 투자 유치에 대한 기대감으로 4% 이상의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오라클은 최근의 하락세를 이어가며 2.7% 하락했다.

금리 및 환율 또한 변화가 있었다. 국고채 금리는 외국인의 순매도세와 미국채 금리 상승에 따라 약세를 보였으나, HSBC가 한국의 WGBI 편입이 무난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소식에 따라 수요가 개선되면서 낙폭이 축소되었다. 미국채 금리는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고, 특히 소비 지출과 소득 증가세가 견조한 폭을 보여 경기 둔화 기대감은 제한적이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1.80원이 상승하여 1,412.40원으로 마감했으며, 이는 미국의 고용지표 호조와 2분기 GDP 성장률의 서프라이즈로 인해 달러가 강세를 보인 데 기인한다. 또한, 이날 코스피 하락으로 인한 외국인의 국내 주식 매도세와 미국에 대한 투자 불확실성이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여, 달러인덱스는 98.17로 하락하며, PCE 데이터에 대한 반응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된 데 따른 것이다.

무디스와 피치 신용평가사는 스페인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스페인의 국가 신용등급을 'Baa1'에서 'A3'로, 피치는 'A-'에서 'A'로 한 단계 상향조정하였다. 이는 스페인의 2분기 GDP가 전기대비 0.8% 성장한 것으로 수정된 자료에 따른 결과로, 유로존 전체의 2분기 GDP가 0.1% 증가한 것과 비교하여 주목할 만한 수치이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