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금융 시장에서 비트코인 비축 전략을 새롭게 구상하는 제이슨 팽, 소라벤처스 창업자의 비전

제이슨 팽(Jason Fang) 소라벤처스(Sora Ventures) 창업자는 아시아 시장에서 비트코인 비축 전략을 발전시키기 위한 맞춤형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미국의 모델을 아시아에 그대로 적용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특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최근 서울 강남구의 디스프레드 본사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팽 창업자는 아시아의 복잡한 규제 환경을 언급하며 “미국에서는 비트코인을 쉽게 보유할 수 있지만, 아시아에서는 규제 당국의 조심스러운 태도 때문에 접근 방식이 달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의 메타플래닛(Metaplanet), 태국의 DV8, 홍콩의 문(Moon), 한국의 비트플래닛(Bitplanet) 등 아시아 비트코인 비축 기업들을 창출하며 이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져왔다.
특히, 메타플래닛은 현재 북미 외의 상장사 중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팽 창업자가 설계한 전략의 성과로 볼 수 있다. 그는 미국의 스트래티지(MSTR)가 선보인 비트코인 비축 전략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아시아의 기존 조건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상장 유지 조건이 까다롭고 자금 조달 환경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그의 주장에 따라, 소라벤처스는 아시아 기업들이 협력할 수 있도록 10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 펀드(1B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1B 펀드의 참여 기업들은 현금이나 주식이 아닌 비트코인으로 배당금을 지급받을 예정이며, 이는 아시아 상장사들이 비트코인을 효과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는 “아시아에서 상장사가 직접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펀드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비트코인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트코인 외에도, 알트코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자산 비축(DAT)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그는 이에 투자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도 전했다. 알트코인 DAT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새롭게 시작된 만큼 본격적인 약세장을 경험하지 않았으며, 변동성이 큰 알트코인의 특성상 위험이 클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팽 창업자는 20대와 30대의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가상자산 거래소 계좌 소지가 보편화되었음을 언급하며, 이런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0대 이상의 투자자들은 여전히 주식 시장에 더 익숙해하며, DAT 기업을 통한 간접 투자 방식이 주를 이룰 것이라 덧붙였다. 이는 현대 투자 환경에서 그가 제시하고 있는 방향성이 활용될 잠재력을 보이며, 아시아 금융 시장에서의 비트코인 비축 전략의 혁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