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빗썸에 대한 현장조사 착수…오더북 공유의 불확실성으로 긴장 고조

홈 > 투자정보 > 국내뉴스
국내뉴스

금융당국, 빗썸에 대한 현장조사 착수…오더북 공유의 불확실성으로 긴장 고조

코인개미 0 16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금융정보분석원(FIU)이 1일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빗썸에 대해 긴급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조사는 빗썸이 해외 거래소와 공유하는 '오더북(호가창)'을 둘러싼 자금세탁방지(AML) 의무의 이행 여부에 대한 우려로 발생하였다. 금융당국은 빗썸과의 사전 협의가 있었음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공식적인 절차가 미흡했다고 판단하여 양측 간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이번 사건의 발단은 지난달 22일 빗썸이 호주 거래소 '스텔라'와 오더북을 공유하기로 결정한 후에 발생했다. 오더북 공유는 거래소 간의 매수 및 매도 주문을 통합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금세탁 위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특정금융거래법(특금법)상 국내의 가상자산 사업자는 엄격한 자금세탁 방지 기준과 고객 신원 확인(KYC) 체계를 유지해야 하며, 상대 거래소의 시스템이 이러한 국내 기준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빗썸 측은 "당국과 충분한 협의를 거쳤다"며 반발하고 있지만, FIU는 오더북 공유라는 민감한 사안에 대한 공식적인 절차를 소홀히 했다고 여긴다. 이번 현장조사에서는 빗썸의 내부 통제 시스템과 해외 거래소와의 계약 내용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법규 위반 여부를 판별할 예정이다.

조사 결과에 따라 가상자산 업계의 유동성 확보 전략에도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의 강력한 조치가 이어질 경우, 다른 거래소들도 자금세탁 방지 조치를 강화하고, 해외 거래소와의 협력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소식은 가상자산 시장의 안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며, 투자자와 거래소 모두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빗썸과 금융당국 간의 갈등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며, 이는 한국의 가상자산 업계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이슈로 남을 것이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