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여야의 '진흙탕' 공방 예고…민생보다 정쟁 우려

오는 13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가 여야 간 격렬한 공방의 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의 민심을 바탕으로 국민의힘과의 민생 경쟁을 제안했으나, 국민의힘은 정부와 여당을 둘러싼 여러 논란에 대해 총공세를 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국정감사는 전산망 마비 사건, 조희대 대법원장의 대선 개입 의혹, 그리고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감 출석 문제 등 다양한 쟁점으로 시끄럽고 혼란스러울 전망이다.
특히, 지난 추석 연휴 동안 여야 간의 정쟁이 격화되면서, 민생을 위한 논의는 더욱 불투명해졌다. 민주당의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여야가 그간의 고자질 대결이 아닌 국민을 위한 민생 챙기기에 더욱 집중해 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정감사는 정쟁의 장으로 변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14일 진행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감에서는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가 주요 안건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망 마비의 원인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논의될 것으로 보이나, 최근 이 대통령 부부의 예능 프로그램 출연이 적절성 논란을 일으키며 이슈의 중심에 섰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를 언급하며 대통령이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개인의 홍보를 우선시 한다고 비판했다.
김범수 서울대 교수는 이번 국감이 전산망 마비와 같은 인재 발생 원인 규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차기 6일에는 대통령실을 대상으로 하는 국회 운영위원회의 국감도 예정돼 있는데, 이 역시 김현지 부속실장의 출석 문제를 둘러싸고 여야 간의 갈등이 예상된다. 대통령실 측은 국회의 요청에 따를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여야 간의 갈등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법제사법위원회의 국감에서는 조 대법원장의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된 사퇴 촉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조 대법원장이 청문회에 불출석한 배경은 여당 주도의 대법원 현장 국감 결정으로 이어졌다. 여야 간의 이견 속에서도 통신사와 카드사 해킹 문제와 같은 민생 문제들도 논의된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KT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 조사하고, 정무위원회는 롯데카드 해킹과 같은 사건들에 집중할 예정이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는 최대 200명의 기업인이 증인으로 출석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지난해 최고 기록을 훌쩍 초과하는 수치다. 기획재정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된 문제를 다룰 예정이며, 야당은 주식과 디지털 자산 관련 법안을 제기할 계획이다. 외교통일위원회는 외교부와 재외공관 설정에 대한 감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결국, 이번 국정감사는 정치적 공방을 넘어 실질적인 민생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의 장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정치권이 내세우는 각종 이념과 이해관계를 넘어 국민의 삶에 직결된 문제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