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금융 선점 경쟁 치열, 한국은 어디까지 왔나?

디지털금융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점차 그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기존 국제 송금 방식에 비해 수수료가 저렴하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자산, 특히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이 이러한 흐름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미국은 디지털자산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 가상자산 및 자본시장 등 세 가지 축을 통해 혁신을 이루고 있다. 그 중심에 스테이블코인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 유통되는 화폐로서 가격 변동성이 적고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송금 시 거래의 즉각적인 완료가 가능해 기존의 금융 시스템과 차별화된 점을 제공하고 있다.
각국의 디지털금융 대응도를 보면, 일본은 페이페이와 바이낸스 재팬 간의 협업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페이페이 앱 내에서 사용자들이 보유한 페이페이 머니를 이용해 비트코인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은 일본 내 가상자산의 대중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혁신은 일본 총리 이시바 시게루가 언급한 '웹3'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미국에서는 비자가 최근 P2P 송금 서비스 '비자 다이렉트'에 스테이블코인 서클(USDC)을 결제 수단으로 추가하여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이는 기존 SWIFT망의 복잡한 절차를 피하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송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혜택을 제공하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한국에서는 인터넷 대기업 네이버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협력하여 '금융 슈퍼앱'을 추진하고 있다. 이 통합 플랫폼은 결제, 송금, 자산 증식 등 모든 금융 활동을 하나의 앱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에게 상당한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이미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며, 업비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에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원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도 검토되고 있어, 한국의 디지털금융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이 글로벌 디지털금융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디지털금융의 선점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신속한 대응과 혁신이 필요하다. 한국의 디지털금융 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변모할지 지켜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