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3.09 오늘의 뉴스] 증시 / 환율 / 금값동향

홈 > 투자정보 > 외환시황
외환시황

[23.03.09 오늘의 뉴스] 증시 / 환율 / 금값동향

FX개미 0 114

eb98a7ed73b39b80fe89d2259498c0db_1678342040_4659.png
 



 오늘의 증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8.06포인트(0.18%) 하락한 32,798.40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64포인트(0.14%) 오른 3,992.01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45.67포인트(0.40%) 상승한 11,576.00으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전날과 이날 파월 의장의 발언과 채용공고와 민간 고용 지표, 연준의 경기평가 보고서인 베이지북 등을 주목했다.

파월 의장은 전날 상원에 출석해 "최종금리가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전체 지표가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고 시사한다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라고 언급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가 0.50%포인트 인상될 가능성을 높였다.

파월 의장은 이날 하원에 출석해 최종금리가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 높아질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3월 금리 인상 폭과 관련해서는 입수되는 지표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우리는 3월 회의에 대해 아직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 추가 자료를 볼 때까지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다"라며 "그것은 지표에 달렸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3월 회의 전까지 나올 지표로 이날 발표된 채용공고와 주 후반 나오는 고용보고서 다음 주 나올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을 언급하며, "만약 전체 지표가 더 빠른 긴축을 보장하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라면서도 이와 관련해 어떤 결정도 내려지진 않았다고 말했다.

시장은 이러한 발언에 일단은 주 후반 나올 고용지표를 지켜보자는 분위기로 돌아섰다.

민간 고용이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의 긴장이 높아졌으나 여전히 나올 지표가 많다는 점에서 시장의 반응은 크지 않았다.

ADP 연구소가 발표한 미국의 2월 민간 고용은 24만2천명 증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20만5천명을 웃돌았다. 지난 1월 수치도 10만6천명에서 11만9천명으로 상향 수정됐다. 임금 상승률은 연율 7.2%로 전달보다 0.1% 하락했다.

ADP 고용은 10일에 나올 노동부의 고용 보고서에 사전 가늠자로 여겨져 왔으나 노동부 고용과 편차가 크다는 점에서 2월 비농업 고용이 예상치를 웃돌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2월 비농업 고용이 22만5천명 증가하고, 실업률은 3.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발표된 미 노동부의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서 1월 채용공고는 1천80만 건으로 전월 수정치인 1천120만건에서 감소했다.

채용공고는 지난해 3월 역대 최대인 1천200만건에서 줄었으나 팬데믹 직전인 2020년 2월의 700만건 수준을 크게 웃돌고 있다. 특히 현재 실업자 570만명의 두 배 수준이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3월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80% 수준에 육박했다. 시장의 올해 연말 최종 금리 전망치도 5.5%~5.75%로 올라갔다. 이전 위원들의 최종금리 전망치인 5.00~5.25%에 비해 0.50%포인트가 높아졌다. 골드만삭스도 전날 파월의 발언 이후 올해 연준의 최종금리 전망치를 5.5%~5.75%로 올렸다.

경제는 일부 지역에서는 정체된 모습을 보였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확장세를 유지했다.

연준이 발표한 베이지북에 따르면 연준 관할 12개 지역 중에서 6개 지역은 '완만한(modest)' 속도로 확장했으며, 나머지 절반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진단했다.

S&P500지수 내 부동산, 기술, 유틸리티 관련주가 오르고, 에너지, 헬스, 금융 관련주는 하락했다.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주가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분을 추가로 매입했다는 소식에 2% 이상 올랐다.

테슬라의 주가는 미 교통당국이 테슬라 차량에 사고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3% 이상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향후 회의에서 더 큰 폭의 금리 인상과 더 높은 최종금리를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머니팜의 리처드 플랙스 최고투자책임자는 마켓워치에 "시장은 파월 의장이 다음 회의에서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볼 수 있고, 최종금리가 이전에 시장에 반영된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발표에서 연준의 점도표와 시장의 기대 사이에 갭이 좁혀지는 것을 보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이션와이드의 캐시 보스탄칙은 CNBC에 "(파월의 발언은) 그들이 더 많은 것을 해야 할지 모른다는 생각을 불러일으켰다"라며 "그들이 기꺼이 (인상 폭을) 상향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은 그들이 정책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는 생각을 더 강화하며, 이는 경제의 경착륙을 초래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 수석 경제 고문도 연준이 지난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했어야 했다며, 연준의 실수로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3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20.6%,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79.4%를 기록했다. 전날에는 각각 30.2%, 69.8%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48 포인트(2.45%) 하락한 19.11을 나타냈다.


eb98a7ed73b39b80fe89d2259498c0db_1678342051_333.png





오늘의 달러 환율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오후 4시 현재(이하 미국 동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137.230엔을 기록, 전장 뉴욕 후장 가격인 137.141엔보다 0.089엔(0.06%) 상승했다.

유로화는 유로당 1.05473달러에 움직여,전장 가격인 1.05505달러보다 0.00032달러(0.03%) 내렸다.

유로는 엔에 유로당 144.76엔을 기록, 전장 144.69엔보다 0.07엔(0.05%) 상승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는 전장 105.611보다 0.03% 상승한 105.641을 기록했다.

달러 인덱스가 보합권을 중심으로 공방을 벌이는 등 연준의 매파적인 행보에 대한 경계감에 따른 추가적인 파장이 제한됐다.

파월 연준의장이 전날 의회 증언을 통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50bp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데 따른 충격이 소화되면서다.

파월은 전날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만약 전체적인 지표상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면(warranted) 우리는 금리 인상의 속도(pace)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면서 "물가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당분간(for some time) 제한적인 통화정책 기조 유지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파월은 또 "최근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최종적인 금리 수준이 이전 전망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시장은 파월 의장의 이런 발언이 오는 21~22일 열리는 FOMC에서 '빅스텝'(50bp)'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했다. 최종 금리 수준도 당초 시장이 전망한 것보다 한 단계 더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강화됐다.

파월은 이날도 미국 의회 하원에 출석해 비슷한 기조의 매파적인 발언을 이어갈 것으로 점쳐졌다.

미국 국채 장단기 수익률은 역전폭은 확대됐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채 2년물 수익률은 한때 전날 종가대비 2bp 이상 올라 5.04%로 호가를 높였다.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날 대비 약보합 수준인 3.97% 수준을 유지하면서 장단기 수익률 역전폭은 한때 100bp를 넘어섰다

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풀이됐다.

미국 기업들의 채용공고 건수가 전월대비로는 감소했지만 예상치는 웃도 것으로 나타났다. 미 노동부 JOLTs(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채용공고는 1천80만 건으로 전월 수정치인 1천123만건보다 41만 건 감소했다. 시장의 예상치인 1천50만보다는 양호한 수준이다. 전체 고용 및 채용 공고에서 채용 공고 수치를 보여주는 비율은 6.5%로 나타났다. 1월 채용(hires)은 640만 명으로 집계됐다. 고용에서 채용 수치를 나타내는 고용률은 4.1%로 전월 4.0%보다 약간 올랐다.

미국의 2월 민간 부문 고용이 월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2월 민간 부문 고용은 직전 달보다 24만2천 명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0만 5천명 증가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주요 외신 또한 20만 명 증가를 예상했다.

엔화는 보합권을 중심으로 관망세를 보였다. 일본은행(BOJ)이 초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고수하는 가운데 일본국채(JGB)와 미국채 수익률의 스프레드가 추가로 확대되지 않고 있어서다. 달러-엔 환율은 한때 137.910엔을 기록하는 등 석 달 만에 최고치까지 올랐다가 보합권으로 내려섰다.

오는 10일에 구로다 하루히코 현 BOJ 총재가 주재하는 마지막 통화정책 회의가 열리지만 경계감은 거의 감지되지 않았다. 이날 구로다 총재가 수익률통제정책(YCC)에 대해 언급할 수도 있지만 실제 정책 변경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점쳐졌다. 우에다 가즈오 차기 총재 후보자도 기존 통화정책을 급격하게 조정은 하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됐다.

유로화는 약세 흐름을 좀처럼 되돌리지 못했다.

유로존의 경제지표가 모멘텀을 제공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풀이되면서다. 지난해 4분기 유로존 성장세는 안정적으로 유지됐지만 유로화 약세를 되돌리지 못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계절 조정 기준 4분기 국내 총생산(GDP) 확정치는 0.0%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예비치 0.1% 성장보다 하향 수정됐으나 마이너스를 면했다. 2022년 전체로 보면 유로존 GDP는 3.5% 증가했다. 이는 2021년에 5.3%를 기록한 것보다 낮아졌으나 마이너스를 면했다.

유럽 최대 경제국 독일의 경제지표도 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독일 1월 소매판매는 시장 예상치를 깨고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소매판매가 전월보다 0.3%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는 2.0% 증가였다. 독일의 1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로도 6.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배녹번의 전략가인 마크 챈들러는 "파월은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어떤 것도 우리에게 말해주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연방기금 최고 금리가 어디에 있을지에 대한 시장 민감도와 불확실성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이는 따뜻한 날씨, 벤치마크 수정, 이런 종류의 것들과 같은 우연적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달러화는 4개월 동안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지금까지는 여전히 자연스러운 조정 과정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9월과 10월의 달러화 최고치로 돌아가서 다시 테스트할 것으로 보이지도 않는다"고 전망했다.

IG의 분석가인 토니 사이카모어는 "파월의 말에 따르면 이러한 경제지표 발표가 예상을 조금이라도 웃돈다면 3월에 50bp 인상을 거의 보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과열된 경제지표가 2월과 3월까지 계속된다면 미국 달러는 매우 확고한 순풍을 맞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eb98a7ed73b39b80fe89d2259498c0db_1678342073_1386.png





오늘의 금값 동향

금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갔다.

8일(현지시간) 마감 무렵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선물인 올해 4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40달러(0.1%) 하락한 온스당 1,818.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가격은 이틀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전일 금 가격은 전일대비 2% 가까이 급락하며 올해 들어 두 번째로 큰 폭으로 떨어졌었다.

귀금속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우려에 위축된 모습이다.

전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최종금리 수준이 당초 예상보다 높을 수 있으며 금리 인상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3월 회의에 대해 아직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며 "지표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경제 지표가 강한 모습을 유지할 경우 더 빠른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중앙은행의 긴축은 금 가격에 부정적인 요인이다.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자산인 금의 매력도가 채권 등에 비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날 미국 2년물 채권 금리는 5%를 상회하는 수준을 유지했다. 10년물 채권 금리는 3.98% 부근에서 거래됐다.

달러화 또한 강세를 유지했다. 글로벌 달러화 지수는 105.6선에서 움직였다.

달러화가 강세를 보일 경우 금의 체감 가격이 높아지게 된다.

자예 캐피털 마켓츠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니암 아슬람은 "연준의 발언은 달러화 지수에 다시 상승 탄력을 줬다"며 "이는 금 시장에는 긍정적인 소식이 아니다"고 말했다.


eb98a7ed73b39b80fe89d2259498c0db_1678342103_9526.png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