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금융, 홈플러스 법정관리 사태로 난처한 상황 직면


메리츠금융그룹이 최근 홈플러스에 대한 대출 문제로 곤란한 상황에 처해 있다. 홈플러스가 지난 4일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가운데, 메리츠금융은 홈플러스에 1조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빌려준 주채권자로서 큰 위기에 봉착했다.
메리츠금융은 홈플러스의 회생절차 신청 직후 “자금회수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이후 추가적인 입장 발표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메리츠금융은 지난해 5월 홈플러스에 담보로 62개 매장을 설정하고 선순위 대출 1조3000억원(연 이자율 8%)을 집행했다. 지난달 말 기준 메리츠금융의 대출잔액은 약 1조2000억원으로, 금융업계에서 홈플러스에 대한 익스포저가 가장 큰 상황이다.
메리츠금융은 담보 자산의 가치가 약 5조원에 달하기 때문에 대출 회수는 비교적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담보권 실행, 즉 홈플러스의 매장 처분은 2만명이 넘는 임직원들의 거취 불안과 협력업체, 입점업체의 도미노 피해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현실적이지 않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더욱이 국회가 오는 18일 이와 관련된 현안 질의를 진행하고, 금융당국이 조사를 착수하는 등 외부의 시선이 쏠린 가운데, 메리츠금융이 담보권 실행을 강행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가 법원에 제출해야 하는 회생계획안을 만들기 위해서는 메리츠금융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홈플러스의 금융부채가 총 2조원에 달하는데, 이 중 상당 부분이 메리츠금융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인 6월 3일 전까지 양측은 협상을 진행할 것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대출 상환 유예나 금리 경감과 같은 조치가 검토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메리츠금융이 담보권 실행에 대한 원론적인 입장을 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내부적으로 여러 협상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는 메리츠금융뿐만 아니라 홈플러스와 그 협력업체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전개될 협상 결과에 따라 업계의 상황과 시장 흐름이 달라질 가능성이 커졌다. 홈플러스의 법정관리로 인한 자금 회수 문제나 매장 처분 등은 금융사들에 큰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는 상황이다.
